라벨이 heart인 게시물 표시

걷기운동, 분노를 다스리는 또 하나의 방법

이미지
  🚶‍♀️ 걷기운동, 분노를 다스리는 또 하나의 방법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어 오를 때, 무작정 걸었습니다.” 그날도 일상 속에서 억울함과 분노가 뒤섞인 감정이 터질 듯이 차올랐어요.  말로 풀자니 상처만 깊어질 것 같았고, 가만히 있자니 속이 터질 것 같았죠. 그래서 신발을 신고 밖으로 나갔습니다. 그저 걷기 위해서요. 처음엔 빠르게, 그리고 점점 호흡을 가다듬으며 걸었어요. 신기하게도 10분이 지나고 20분이 지나자, 내 안의 분노가 조금씩 풀리는 것이 느껴졌어요 . 🔥 걷기운동이 분노를 잠재우는 이유 우리의 뇌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편도체**가 활성화되며, 이곳이 바로 '공포'와 '분노'를 조절하는 센터입니다. 걷기운동은 이 편도체의 반응을 완화시키고, 세로토닌과 도파민 같은 안정 호르몬을 분비 하게 해요. 즉, **걸으면 뇌가 차분해지고 마음도 진정**되는 거죠. 🌿 감정이 요동칠 땐, 이처럼 걸어보세요 조용한 거리나 공원을 선택 해보세요. 처음엔 분노의 에너지로 빠르게 걷고 , 점점 호흡에 집중하며 속도를 낮춰보세요 . "나는 지금 왜 화가 났을까?" 혼잣말로 마음을 탐색해보세요. 하늘을 올려다보고 햇살을 느껴보는 것 도 감정 전환에 큰 도움이 돼요. 💬 걷기 중 들려온 마음의 소리 "왜 그렇게 화가 났지?" "그 사람은 정말 나쁜 사람일까?" "혹시 내 안에 쌓인 다른 감정이 더 컸던 건 아닐까?" 이렇게 걸으며 나와 대화를 나누다 보면, 어느새 감정이 흘러가고 , 내 안의 불꽃이 잦아드는 경험 을 하게 됩니다. 🚶 걷기운동은 단순한 운동이 아닙니다 우리는 종종 '운동'을 몸만 움직이는 일이라 생각하지만, 걷기는 몸과 마음을 함께 치유하는 유일한 도구 예요. 특히 감정의 폭풍이 몰아치는 날엔, 억지로 ...

마음을 지킨다는 것, 생명을 지키는 일입니다

이미지
■ 마음을 지킨다는 것, 생명을 지키는 일입니다 사람의 마음은 마치 밭과도 같다고 성경은 말씀하고 있어요. 길가 밭, 돌짝밭, 가시덤불 밭, 그리고 옥토 밭 처럼 말이에요. 예수님께서 비유로 말씀하신 이 네 가지 밭은, 우리가 어떻게 말씀을 받고 살아가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거예요. 결국에는 우리의 ‘마음 상태’가 얼마나 중요한지 를 알려주시는 거겠죠. 마음에 따라 결정이 달라지고, 그에 따라 삶의 방향이 정해지니까요. ● 마음이 곧 삶의 나침반입니다 우리가 어떤 마음을 품고 살아가느냐에 따라 생각이 형성되고, 그 생각은 곧 행동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마음은 그저 감정의 그릇이 아니라, 삶의 뿌리와 방향을 결정짓는 중심 저 역시 한때는, 정말 쓸데없는 상상에 푹 빠져 지낸 적이 있었어요. 영화를 보고 나면 제가 주인공인 듯한 기분이 들고, 축구경기를 보면 어느새 내가 국가대표가 되어 골을 넣고 환호하는 장면을 상상하곤 했죠. 이런 생각들이 마냥 재미있기만 한 게 아니더라고요. 지금 돌아보면, 그렇게 마음을 허투루 풀어놓는 것이 악한 영의 유혹에 문을 여는 것과도 같았던 것 같아요. 허상에 빠져 진짜 현실을 놓치고 있었던 거죠. ● 다윗, 마음을 하나님께 드린 자 다윗은 한 번의 실수로 인해 자녀 문제로 깊은 고통을 겪게 되었지만요, 그의 생애 전체를 보면 항상 하나님을 중심에 두려 했던 사람 이었어요. 그 마음 깊은 곳엔 늘 하나님이 계셨던 것 같아요. 시편 16편 8절에서 다윗은 이렇게 고백해요: “내가 여호와를 항상 내 앞에 모셨으니 그가 내 오른쪽에 계시므로 내가 흔들리지 아니하리로다.” 얼마나 든든하고 믿음직스러운 고...

내 마음의 상태, 얼굴에 그대로 드러나고 있지 않나요?

이미지
  ▶ 내 마음의 상태, 얼굴에 그대로 드러나고 있지 않나요? 요즘 문득, 지금 내 마음은 어떤 모습일까? 하고 스스로에게 물어보게 됩니다. 그 답은 의외로 우리 얼굴에 솔직하게 나타난다 는 걸 종종 느끼게 돼요. 얼굴 표정은 마음의 창과 같죠. 가정이나 일터, 교회 공동체 안에서도 표정 하나 로 분위기가 확 달라질 수 있다는 걸 경험하게 됩니다. 저는 억울하거나 분이 올라올 때, 그 감정이 숨기지 못하고 얼굴에 고스란히 나타나곤 해요 . 그러다 보니 가족들이나 교회 성도들에게 생각지 않게 마음의 상처를 주게 되는 일 도 종종 있었죠. 그러던 어느 날, 사도행전 7장 의 스데반 집사님 이야기가 떠올랐습니다. 순교를 앞둔 상황 에서조차, 그의 얼굴은 천사처럼 빛났다고 성경은 전하고 있어요. ▶ 고난의 한복판에서도 빛나는 얼굴, 그 비결은? 상상해보세요. 돌에 맞아 죽음을 앞두고 있는 사람의 표정이 어떻게 천사 같을 수 있을까요? 스데반은 믿음이 충만하고 성령으로 가득 찬 자 였기에, 그 순간에도 복음을 담대하게 외쳤습니다. 완고하고 완강한 유대인들은 그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고, 끝내 돌을 들어 그를 처형 하려 했죠. 그런데 바로 그때, 스데반은 하늘을 우러러 보며 , 하나님의 영광과 보좌 우편에 서 계신 예수님 을 보게 됩니다. 이 장면을 사도행전의 저자 누가는 이렇게 기록합니다. "그 얼굴이 천사의 얼굴과 같더라." (행 6:15) 그 표현이 참 인상 깊어요. ▶ 우리가 무엇을 바라보느냐에 따라 얼굴이 달라집니다 요즘 뉴스를 보면, 계속해서 전염병, 불안, 전쟁 같은 소식들이 쏟아져 나오죠. 그 소식에만 몰두하다 보면, 어느...

문제 앞에서 붙들어야 할 마음, “가만히 서서”

이미지
  문제 앞에서 붙들어야 할 마음, “가만히 서서” 삶을 살아가다 보면 피할 없는 순간이 찾아올 때가 있어요. 마치 앞에는 홍해가 가로막히고, 뒤에는 적이 쫓아오는 것 같은 절체절명의 위기 말이에요. 그런 순간, 우리는 어떤 마음을 붙들어야 할까요? 도망칠 길도 없고, 나아갈 방향도 막힌 채 혼란과 두려움 속에서 헤매기 쉬운 우리에게, 성경은 아주 분명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어요. 비하히롯 앞에서, 바닷가에 장막을 치다 출애굽기 14장을 보면,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비하히롯 앞, 바닷가까지 인도하신 장면 이 나와요. 눈앞에는 넘실대는 바다가 펼쳐져 있고, 뒤에서는 애굽의 군대가 거세게 따라오는 상황이죠. 사람의 눈에는 이해할 수 없는 환경이에요. “왜 이런 곳에 장막을 치라고 하셨을까?” 도무지 납득이 되지 않는 그 장소가, 바로 하나님의 계획의 중심 이었어요. 당시 바로는 말했죠. “그들이 광야에서 길을 잃고 방황하고 있다.” 하지만 그건 인간의 시선이었고요, 하나님은 그곳에서 기적을 준비하고 계셨던 것 입니다. 사람은 흔들리고, 환경은 위협하지만… 이스라엘 백성은 극도의 불안 속에서 모세를 원망하며 소리를 질렀어요. “애굽에서 매장지가 없어서 이 광야로 우리를 데려온 거냐”고요. 절망감이 그들을 덮고 있었던 거죠. 지금 우리의 현실도 크게 다르지 않아요. 가정의 문제, 경제적 위기, 질병이나 관계의 갈등 속에서 믿음이 흔들리고, 입술엔 불평이 오르기 쉽습니다 . 그럴 때,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이렇게 말씀하세요. “두려워하지 말라, 가만히 서서 여호와께서 오늘 너희를 위하여 행하시는 구원을 보라.” (출애굽기 14:13) 믿음의 핵심, ‘...

당신 마음의 왕좌엔 누가 앉아 계신가요?

이미지
당신 마음의 왕좌엔 누가 앉아 계신가요? 인생이라는 여정은 결국 ‘누가 나의 주인이며, 내 마음을 다스리는가’ 를 묻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어요. 다시 말하면, 누가 통치하고 지배하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삶의 색깔과 방향이 전혀 달라진다는 의미입니다. 우리의 마음은 보이지 않는 치열한 전쟁터 예요. 하루에도 수없이 많은 결정과 유혹 이 오가고, 매 순간 누가 왕좌를 차지하느냐 의 싸움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예전 우리의 상태를 기억하시나요? 우리는 한때 죄와 허물로 죽었던 자 였고요, 세상의 가치관과 흐름을 따라 살며, 육체의 욕망을 쫓아 하나님의 진노 아래 있었던 존재였습니다. 그런데 긍휼이 풍성하신 하나님 께서, 우리를 사랑하신 그 큰 사랑과 은혜 로 인해, 오직 믿음을 통해 구원의 길로 이끌어 주셨다는 사실, 정말 감격스럽지 않나요? 그분은 바로 예수님입니다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 를 가지신 예수님께서, 우리의 마음에 오셔서 참된 왕으로 자리하시고 우리의 인생을 이끌어 가시기를 원하고 계세요. 성령님을 통해 우리 안에 거하시며, 지혜와 사랑으로 다스리시는 그분 은, 우리가 삶의 진정한 평안을 누리게 하시려 매 순간 우리 마음의 중심을 두드리고 계십니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네요 오랫동안 자아의 노예로 살았던 우리 는, 여전히 익숙한 방식대로 반응하며 살아가고 있어요. 예수님께 모든 것을 맡기고 순종하려 하지만, 생각보다 그것이 쉽지 않다는 것 , 많이 느끼셨을 거예요. 나도 모르게 내 경험, 내 판단, 내 감정 이 먼저 반응하죠. 그래서 “예수님이 내 왕이십니다”라고 고백하면서도, 어느 순간 근심, 욕심, 불안 이 왕좌를 차지하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고난주간 묵상] 참 하나님이시며 참 사람이신 예수님

[고난주간 금요일] 하나님이신데 사람이 되신 예수님 – 이보다 더 큰 사랑이 있을까요?

부활이 없다면, 우리는 이 땅에서 가장 불쌍한 존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