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Who is the true subject?인 게시물 표시

걷기운동, 분노를 다스리는 또 하나의 방법

이미지
  🚶‍♀️ 걷기운동, 분노를 다스리는 또 하나의 방법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어 오를 때, 무작정 걸었습니다.” 그날도 일상 속에서 억울함과 분노가 뒤섞인 감정이 터질 듯이 차올랐어요.  말로 풀자니 상처만 깊어질 것 같았고, 가만히 있자니 속이 터질 것 같았죠. 그래서 신발을 신고 밖으로 나갔습니다. 그저 걷기 위해서요. 처음엔 빠르게, 그리고 점점 호흡을 가다듬으며 걸었어요. 신기하게도 10분이 지나고 20분이 지나자, 내 안의 분노가 조금씩 풀리는 것이 느껴졌어요 . 🔥 걷기운동이 분노를 잠재우는 이유 우리의 뇌는 스트레스를 받을 때 **편도체**가 활성화되며, 이곳이 바로 '공포'와 '분노'를 조절하는 센터입니다. 걷기운동은 이 편도체의 반응을 완화시키고, 세로토닌과 도파민 같은 안정 호르몬을 분비 하게 해요. 즉, **걸으면 뇌가 차분해지고 마음도 진정**되는 거죠. 🌿 감정이 요동칠 땐, 이처럼 걸어보세요 조용한 거리나 공원을 선택 해보세요. 처음엔 분노의 에너지로 빠르게 걷고 , 점점 호흡에 집중하며 속도를 낮춰보세요 . "나는 지금 왜 화가 났을까?" 혼잣말로 마음을 탐색해보세요. 하늘을 올려다보고 햇살을 느껴보는 것 도 감정 전환에 큰 도움이 돼요. 💬 걷기 중 들려온 마음의 소리 "왜 그렇게 화가 났지?" "그 사람은 정말 나쁜 사람일까?" "혹시 내 안에 쌓인 다른 감정이 더 컸던 건 아닐까?" 이렇게 걸으며 나와 대화를 나누다 보면, 어느새 감정이 흘러가고 , 내 안의 불꽃이 잦아드는 경험 을 하게 됩니다. 🚶 걷기운동은 단순한 운동이 아닙니다 우리는 종종 '운동'을 몸만 움직이는 일이라 생각하지만, 걷기는 몸과 마음을 함께 치유하는 유일한 도구 예요. 특히 감정의 폭풍이 몰아치는 날엔, 억지로 ...

예배와 헌신의 주어는 누구일까요?

이미지
  ■ 예배와 헌신의 주어는 누구일까요? 우리는 신앙생활 속에서 ‘누가 중심인가?’ 라는 질문을 자주 마주하게 됩니다. 기도하고, 섬기고, 예배드리는 그 모든 행위들 속에서 **주어는 과연 누구일까요?** 혹시 나 자신이 주인공이 되고 있지는 않은지요? 빌립보서 3장 1절 에서 바울은 이렇게 말합니다. “주 안에서 기뻐하라.” 그런데요, 상황은 기뻐할 수 있는 여건이 아니었습니다. 바울은 당시 감옥에 갇혀 있었고, 앞날은 불투명했지요. 그런데도 그는 담대하게 외칩니다. “기뻐하십시오! 단, 그 기쁨은 '주 안에서'입니다.” 이는 곧, **기쁨의 주어가 환경이 아니라 ‘주님’이라는 고백**인데요. 우리가 어떤 일을 할 때, 주체가 내가 아닌 **하나님이시라면 가능해지는 것이 참 많아집니다.** ■ 진정한 예배자의 조건은 무엇일까요? 당시 교회에선 할례를 강조하며, 육체적 행위를 통해 구원이 이뤄진다 는 잘못된 가르침이 있었어요. 바울은 이런 유대주의자들, 즉 할례파를 강하게 경고하면서 말씀합니다. “하나님의 성령으로 봉사하며, 그리스도 예수로 자랑하며, 육체를 신뢰하지 아니하는 우리가 곧 참된 할례파입니다.” (빌 3:3) 바울이 말하는 진정한 신자는 외적인 율법의 행위가 아닌, 성령으로 드리는 예배 에 중심을 두는 자들이에요. 예배와 섬김의 주체가 내가 아니라 주님이신 삶 , 그게 바로 복음의 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바울, 자랑할 것이 참 많았던 사람인데요… 바울 자신도 사실, 유대인으로서 자랑할 조건이 정말 많았죠. 그가 말하길, 여드레 만에 받은 할례 이스라엘 백성, 베냐민 지파 출신 히브리...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고난주간 묵상] 참 하나님이시며 참 사람이신 예수님

[고난주간 금요일] 하나님이신데 사람이 되신 예수님 – 이보다 더 큰 사랑이 있을까요?

부활이 없다면, 우리는 이 땅에서 가장 불쌍한 존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