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운동, 분노를 다스리는 또 하나의 방법

이 땅에서 사는것이 기회 입니다. 죽고 나서 그때 예수 잘 믿을걸 땅을 치고 후회한들 이미 때가 늦었습니다. 지금이 기회 입니다. 예수님이 그리스도라는 사실(요일5:1)을 믿는것 입니다. 만일 이 땅에서 마지막 숨을 거두고 눈을 뜨었을때 유황불 타오르는 곳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지금이 예수 잘 믿을 수 있는 기회 입니다. Living on this earth is an opportunity. If you regret after death, thinking, "I should’ve believed in Jesus," and beat your chest in sorrow— it will already be too late. Now is the time. It is the moment to believe that Jesus is the Christ (1 John 5:1). If you were to take your final breath on this earth, and open
에스라는 70년간의 포로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정체성을 회복시켜주기 위해, 아주 중요한 일을 했습니다. 바로 ‘족보’를 다시 기록한 것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서 다시금 자리매김하도록 돕는 깊은 목적이 있었답니다.
“온 이스라엘이 그 계보대로 계수되어 이스라엘 왕조실록에 기록되니라” (역대상 9:1)
이 구절에서 ‘기록되니라’라는 말은 히브리어 미완료형인데요, 이건 단지 옛날 일을 뜻하는 게 아니라, **지금도 계속해서 기록되고 있다는 뜻이에요.**
우리는 종종 족보를 보면 '다 끝난 이야기'라고 생각하기 쉬운데요. 그러나 하나님은 오늘 이 순간에도 당신의 백성을 족보에 기록하고 계십니다. 바로 지금, **나와 당신의 이름도 하늘책에 써지고 있는 중**이란 말이죠.
이스라엘이 포로에서 돌아왔을 때, 제일 먼저 회복한 게 무엇이었을까요? 땅이나 경제적인 기반이 아니었어요. **가장 먼저 회복한 건 예배였답니다.**
그들이 예루살렘에 돌아와 처음 정착했을 때 언급된 이들은 바로 제사장, 레위 사람, 느디님 사람들이었어요. 이들은 모두 **예배를 준비하고 드리는 역할**을 맡았던 사람들인데요, 눈에 띄지 않지만 너무나 중요한 사역자들이었습니다.
느디님 사람이란 이름은 조금 낯설 수 있어요. 그들은 기브온 사람들처럼 전쟁 포로로 끌려온 이방 출신이었지만, 성전에서 허드렛일을 감당하며 하나님께 헌신한 사람들이었어요. 하나님께서는 그들을도 **언약 백성의 일부로 받아주시고 이름을 기록하셨다**는 점이 참 감동적이지 않나요?
🌿 출신이나 배경보다 중요한 건 ‘지금 하나님 앞에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입니다.
혹시 지금 봉사하고 계신가요? 또는 묵묵히 기도하고 계신가요? 눈에 띄지 않더라도, **하나님은 그 모든 것을 기억하시고 기록해두십니다.** 느디님 사람처럼 이름조차 낯선 우리가 되어도, 하나님은 결코 우리를 잊지 않으세요.
히브리서 6:10에서는 이렇게 말씀합니다:
“하나님은 불의하지 아니하사 너희 행위와 성도를 섬긴 것을 잊지 않으신다”고 하셨습니다.
우리가 드리는 찬양, 헌신, 섬김, 그리고 눈물 어린 기도까지도 하나님은 다 기록하시고 기억하신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하늘의 족보에 우리의 이야기가 한 줄, 한 줄 써지고 있어요.
예배는 단지 주일 오전에 드리는 의식이 아닙니다.
하나님 앞에 나아가는 모든 삶의 순간들이 **예배의 일부**이고, **하늘 족보에 새겨질 이야기들**이에요.
무명의 느디님 사람들도 하나님의 성전을 섬겼던 것처럼, 우리도 오늘 이 시대의 **예배자요 섬김의 일꾼**으로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 지금 당신의 이름, 하나님 나라 역사책에 새겨지고 있다는 사실, 믿어지시나요?
하나님 앞에서 진실하게 살아간다면, 그분은 반드시 당신을 기억하시고, 기록하신다는 사실을 잊지 마세요. 그리고 오늘도 그 기록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